셀프 세차장 창업 비용, 월 수익 600만원

셀프 세차장 창업 비용 요약 (수도권 100평 기준)

  • 초기 투자 비용 : 18,850 ~ 26,850 만원
  • 월 예상 수익 : 약 600 만원

1. 셀프 세차장 창업 초기 투자비용

1) 셀프 세차장 초기 투자비용 상세

1-1. 부지 및 건축 비용

항목상세 내역비용 (단위: 만 원)
부지 임대 보증금100평(약 330㎡) 기준4,000 ~ 7,000
부지 내부 공사바닥 방수, 경사도 조정1,300 ~ 1,800
배수 공사오수처리, 정화조 설치900 ~ 1,200
전기 공사동력, 배전, 접지600 ~ 900
기초 토목 공사터파기, 다짐, 기초700 ~ 1,000
소계7,500 ~ 11,900

* 부지·건물 상태, 상하수도·전기 인입 거리 등에 따라 비용 편차가 큼

주의사항

  • 건축법상 근린생활시설근린생활시설근린생활시설 또는 자동차관련 시설로 분류가 필요한지 미리 확인
  • 상하수도 시설이 멀면 별도 인입 공사비가 크게 증가할 수 있음
  • 접지 및 전기 용량(3상 전기 등) 충분히 확보 필요

1-2. 세차 설비 투자비용

항목상세 내역비용 (단위: 만 원)
고압세척기4룸 × (개당 200~250만 원)800 ~ 1,000
폼건(폼랜스) 시스템4룸 × (개당 150~180만 원)600 ~ 700
스팀 세차기4룸 × (개당 280~300만 원)1,000 ~ 1,200
광택기4룸 × (개당 140~150만 원)500 ~ 600
에어컴프레서중앙 공급식 1대350 ~ 450
정수(연수) 시스템연수기, 필터 구성1,300 ~ 1,800
매트 세척기2대 (개당 150~250만 원)350 ~ 450
진공청소기4대 (개당 100~150만 원)500 ~ 700
스프레이건(분무건)4룸 × 4세트200 ~ 250
소계5,600 ~ 7,200

고려사항

  • 국산 설비 vs. 수입 설비: A/S·부품 수급 편의성 비교
  • 동절기 동파 방지 기능(히터, 단열재 등) 포함 여부
  • 업체별 설비 내구성·보증기간·추가옵션(세정력, 살균 기능 등) 차이

1-3. 운영 시스템 구축비용

항목상세 내역비용 (단위: 만 원)
키오스크4대 × (개당 300~350만 원)1,200 ~ 1,400
POS 시스템H/W, S/W 일체300 ~ 400
CCTV8채널(녹화기·모니터)400 ~ 600
조명 설비LED 투광등(약 20개)350 ~ 550
룸 분리벽4룸 구획(가림막, 방진벽)700 ~ 900
캐노피지붕·기둥 공사1,000 ~ 1,300
환기 시스템배기팬, 덕트 등350 ~ 450
소계4,300 ~ 5,600

주의사항

  • 무인 운영 시 결제 오류 대응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 필수
  • CCTV 보관 기간(보통 2주~1개월)에 맞는 HDD 용량 확보
  • 캐노피(지붕)·룸 분리벽은 기둥·재질·설계 방식에 따라 큰 비용 차이 발생

1-4. 기타 시설 투자비용

항목상세 내역비용 (단위: 만 원)
관리실컨테이너 개조(내부 단열·전기)500 ~ 700
대기실의자·자판기·휴게 공간 등200 ~ 300
간판LED 전광판 포함300 ~ 500
차양막4룸 상단 커버·차양200 ~ 300
소모품 보관실케미컬·부자재 보관장, 환기설비150 ~ 200
실외 안내판가격표·사용법 표지판 등100 ~ 150
소계1,450 ~ 2,150

기타주의사항

  • 소방법(소화기 비치, 방염 자재 등) 준수 여부
  • 케미컬(약품) 보관 시, 별도 환기·온도 관리 필요
  • 동파 방지(배관 보온재, 난방 장치) 적용 여부

2) 총 초기 투자비용 요약

구분비용 (단위: 만 원)
부지 및 건축7,500 ~ 11,900
세차 설비5,600 ~ 7,200
운영 시스템4,300 ~ 5,600
기타 시설1,450 ~ 2,150
합계18,850 ~ 26,850

3) 예비비 및 초기 운영자금

  1. 예비비
    • 총 투자비(약 1.9억 ~ 2.7억)의 10% 수준 권장
    • 1,885 ~ 2,685만 원
  2. 초기 3개월 운영자금
    • 월 고정비+소모품+마케팅 등을 고려
    • 3,000 ~ 4,000만 원

4) 최종 투자금 준비 규모

  • 기본 투자비 합계: 1.89억 ~ 2.69억 원
  • + 예비비(10%) + 3개월 운영자금: 최소 2.38억 ~ 최대 3.33억 원 전후

추가 유의사항

  1. ±15% 변동 가능성
    • 부지 상태·시세·장비 스펙·인테리어 수준 등에 따라 실제 금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.
  2. 부대시설 투자
    • 실내 크리닝·유리발수·광택 부스 등 추가 시설 설치 시 비용 증가.
  3. 인허가 절차
    • 지방자치단체별로 건축법·환경법·소방법 등 절차·규정이 상이하므로 사전 상담 필수.
  4. 중고 장비 활용
    • 중고 고압세척기·부스·컴프레서 등을 활용하면 초기비용 절감 가능하나, 잦은 고장·A/S 문제 주의.

결론적으로, 실제 창업 현장에서 확인된 여러 사례를 참고하면, 4룸 기준 셀프세차장을 신규 구축하는 데
약 1.9억 ~ 2.7억 원의 초기 설치비용이 소요되며, 예비비와 3개월 운영자금까지 포함하면
최소 2.4억 원대에서 많게는 3.3억 원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됩니다.
(지역·규모·장비 사양·인테리어·노후 부지 보수 여부 등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, 사업계획 단계에서 세부 견적을 반드시 재확인하세요.)

셀프 세차장 창업 수익성

2. 셀프 세차장 창업 월 수익

(※ 지역·규모·주차대수·부대시설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세요.)


1) 셀프세차장 일일 매출 추정 (4룸 기준)

구분평일주말/공휴일
룸당 평균 회전수9~11회13~15회
회당 평균 매출13,000원13,000원
일일 매출최소: 9회 × 4룸 × 13,000원 = 468,000원
최대: 11회 × 4룸 × 13,000원 = 572,000원
최소: 13회 × 4룸 × 13,000원 = 676,000원
최대: 15회 × 4룸 × 13,000원 = 780,000원

ㆍ평일(월~금): 하루 46.8만 원 ~ 57.2만 원
ㆍ주말(토/일)·공휴일: 하루 67.6만 원 ~ 78.0만 원


2) 월간 매출 계산

2-1. 일반시기 월 매출 (우천 등 요인 제외, 월 평일 22일, 주말/공휴일 8~9일 기준)

구분평일 매출 (22일)주말/공휴일 매출 (8~9일)월 총 매출
최소값468,000원 × 22일 = 10,296,000원 (약 1,030만 원)676,000원 × 8일 = 5,408,000원 (약 541만 원)
676,000원 × 9일 = 6,084,000원 (약 608만 원)
1,571만 원 전후
최대값572,000원 × 22일 = 12,584,000원 (약 1,259만 원)780,000원 × 8일 = 6,240,000원 (약 624만 원)
780,000원 × 9일 = 7,020,000원 (약 702만 원)
1,960만 원 전후

* 최소값 기준 월합: 약 1,030만 원 + 541~608만 원 = 1,571~1,638만 원
* 최대값 기준 월합: 약 1,259만 원 + 624~702만 원 = 1,883~1,961만 원
실제 운영 데이터를 종합하면 1,570만 원 ~ 1,960만 원 범위에서 가장 많이 형성됨.


2-2. 성수기 월 매출 (여름/겨울 극성수기, 기본 매출 대비 20% 상승 가정)

  • 성수기(6~8월, 12~2월): 평일/주말 상관없이 기본 매출 +20% 반영
  • 우천·폭염·폭설 등으로 인한 매출 감소(약 30%)는 월 3~4일로 가정하여, +20% 중 일부가 상쇄되는 방식으로 계산
구분월 예상 매출 (일반시기 대비 +20% 반영 후, 우천일 일부 상쇄)
최소값약 1,570만 원 × 1.2 = 1,884만 원 전후
최대값약 1,960만 원 × 1.2 = 2,352만 원 전후

※ 실제로 우천일(또는 폭염·폭설)에 매출이 크게 감소(최대 30%↓)하므로, 20% 증가분 전부가 반영되기 어려워 1,880만 원 ~ 2,350만 원 정도로 보는 경우가 많음.


3) 월간 지출 비용 상세

3-1. 고정 지출

항목비용 (단위: 만원)비고
임대료250~360부지·시설 규모, 입지에 따라 편차 큼
인건비 (2인 교대)400~520주간(1명), 야간(1명) 교대 기준
4대보험 및 퇴직금80~110월 환산액 기준, 인건비 대비 약 20~25%
수도세150~220세차기·스팀기·진공청소기 등 물 사용량에 비례
전기세100~160조명, 난방기, 압축기, 세차기 등에 사용
관리비50~90청소, CCTV, 인터넷 등 부대비용
설비 유지보수비70~110세차기·압축기·배관·펌프 등 유지보수비
보험료15~25화재·재물·영업배상책임보험 등 종합 보험
소계1,115 ~ 1,595

3-2. 변동 지출

항목비용 (단위: 만원)비고
세차용품60~90폼건용 세제, 타이어 코팅제, 왁스 등
홍보/마케팅30~60온라인 광고, 리플릿, 현수막, SNS 등
카드수수료 (3.3%)52~65월 매출 1,570만~1,960만 원 기준(일부 현금 결제 제외)
기타 소모품20~40휴지, 청소도구, 세척장비 부품 등
소계162 ~ 255

4) 월간 순수익 분석

4-1. 일반시기 순수익

구분금액 (단위: 만원)비고
월 평균 매출1,570 ~ 1,9602번 항목(일반시기) 참조
총 지출(고정비 1,115~1,595) + (변동비 162~255) = 1,277 ~ 1,850실제 운영 시 변동폭 큼
월 순수익1,570 ~ 1,960 – 1,277 ~ 1,850 = 약 293 ~ 683세금·추가공제 전 기준 (단위: 만원)

* 최소 시나리오: (1,570 – 1,850) → 적자가 날 수 있음
* 최대 시나리오: (1,960 – 1,277) = 683만 원 내외


4-2. 성수기 순수익

구분금액 (단위: 만원)비고
월 평균 매출1,880 ~ 2,350우천일 상쇄 고려한 성수기 예상치(2번 항목)
총 지출(고정비 1,115~1,595) + (변동비 162~255) = 1,277 ~ 1,850성수기라도 지출은 큰 차이 없음(세차용품 약간↑)
월 순수익1,880 ~ 2,350 – 1,277 ~ 1,850 = 약 603 ~ 1,073세금·추가공제 전 기준 (단위: 만원)

* 일부 세차용품·전기료 증가분을 반영하면 실제로는 600~1,050만 원 정도로 예상


5) 순수익 변동 요인 및 주의사항

  1. 경쟁업체 증가: 가까운 거리에 신규 셀프세차장 오픈 시 매출 하락 가능성.
  2. 물가 상승 및 최저임금 인상: 인건비·재료비·공공요금(수도, 전기 등) 상승으로 지출 증가.
  3. 기후 영향: 폭우·폭설·폭염이 잦은 달은 매출 변동 폭이 커짐.
  4. 설비 노후화: 운영 2~3년 차부터 주요 설비(세차기·배관·펌프 등) 교체 및 수리비 증가.
  5. 부대시설 및 추가 서비스: 광택·유리발수·실내크리닝 등 부가서비스를 접목할 경우 매출 확장 가능하나, 해당 장비·인력 비용도 추가 고려해야 함.

주의:

  • 본 자료는 여러 운영 사례와 공개된 정보(블로그·카페 후기, 부동산 임대 시세 등)를 종합추정치입니다.
  • 지역·부지 규모, 광고 투자, 리모델링 여부 등에 따라 실제 매출·비용·순이익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• 지출 항목 중 세금(소득세·부가세 등), 금융 비용(대출 이자), 시설 투자금 회수 기간 등은 별도 고려가 필요합니다.
셀프 세차장 창업 환상

3. 셀프 세차장 창업 후기

1) 실제 운영자 창업 후기

성공 사례

  • “4룸 규모로 시작해서 현재 월 300만원 안정적 순수익” (N블로그)
  • “주차장이 넓어 대형 SUV고객이 많음. 객단가 높음” (C카페)
  • “아파트 5천세대 근처라 주말엔 예약 필수” (N카페)

실패 사례

  • “장비 고장 AS비용이 월 50만원 이상 나옴” (N블로그)
  • “경쟁점 2개 생기면서 매출 반토막” (C카페)
  • “수도세 감당 안되어 1년만에 정리” (N카페)

2) 현직 운영자 실전 조언

수익성 관련

  • “겨울철이 여름보다 매출 2배 높음”
  • “평일 저녁 6-10시가 황금시간대”
  • “주말매출이 평일의 2배 수준”

운영 관련

  • “정기적인 장비점검이 폐업을 막는 길”
  • “동파방지 철저히 해야 겨울철 영업 가능”
  • “소음 관련 민원 대비 필수”

💡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핵심 포인트:

  1. 장비 AS업체와 긴밀한 협력 관계
  2. 계절별 수익 변동 대비
  3. 경쟁업체 분석 철저
  4. 수도/전기 사용량 최적화
  5. 확실한 주차공간 확보

추천 글